- 미조립 상태로 배송됩니다. 본 포스트의 사진은 참고를 위해 조립(납땜) 후 촬영한 것입니다.
- MCU에는 부트로더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납땜을 완료 한 후 반드시 펌웨어를 업로드 해줘야 합니다.
- 소자 목록
ATMEGA32A-AU
USB-120
Chip Tantal A size 10uF 16V
MMBT2222A (SOT-23) * 3
CRYSTAL ATS-49/U타입 12MHz(또는 SMD 3X5 size)
2012 Chip Resistor, 330Ω * 3
2012 Chip Resistor, 10kΩ * 1
2012 Chip Resistor, 68Ω * 2
2012 Chip Resistor, 1.5kΩ * 2
2012 size Chip Monolithic Ceramic Capacitor 18pF * 2
2012 size Chip Monolithic Ceramic Capacitor 0.1uF
BZX84C3V6 (Power Dissipation Pd 350mW) * 2
- 2개 이상 신청할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이 붙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PCB 모양에따라 경계마다 반쯤 잘려진 상태이니 그곳을 가볍게 부러뜨려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큰 사진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사진들은 참고용으로 남기겠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커집니다.)
- 저항(R)들은 사진과 같은 위치에 납땜 해주면 됩니다. 방향성은 없습니다.
- 캐패시터(C)중 탄탈 캐패시터(C2)는 방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사진과 같은 방향으로 납땜 해 줍니다. 나머지들(C1, C3, C4)은 사진과 같은 위치에 납땜 해줍니다.(그림 상 C2는 검정색이지만 노란색일 수도 있습니다.)
- 크리스탈(Y1)은 사진과 같이 숫자(12.000)가 보이도록 납땜 해주면됩니다. 접점 4곳 중 1곳에 표시가 되어 있지만, 사실 돌아가도 문제는 없습니다.
- 제너다이오드(ZD1~2)와 트랜지스터 (N1~3)는 사진과 같은 방향으로 납땜 해줍니다. 모양이 똑같습니다만, 소자수가 각각 2개와 3개로 다르므로 섞이지 않도록 잘 구분해서 납땜 해줍니다. (아래 사진들과 비교해서 보시면 프린트된 글자가 다릅니다.)
: 제너다이오드(2개, 파란색 표시)는 "Z15"라고 소자에 쓰여있고, 트랜지스터(3개, 보라색 표시)는 "!1P"라고 쓰여져 있습니다.
: 제조업체에 따라서 쓰여진 글자는 다를 수 있으니, 만약, 설명된 내용과 다른 글씨가 쓰여져 있다면 수량을 2개, 3개로 구분해서 판단하면 됩니다.
- MCU(IC1)도 방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사진과 같은 방향으로 납땜을 해야합니다.
* 최근 크리스탈(Y1)이 4접점에서 2접점으로 변경되어 아래 사진을 참고하여 납땜 해주면 됩니다.
- 네 접점 중 네모 박스 친 부분과 그 대각선을 납땜을 합니다.
- USB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드를 제공합니다. 아래그림과 같이 반드시 윗면에 체결해야합니다.
- PCB의 GND, D+, D-, VCC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위 USB 보드의 같은 위치에 와이어링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아래 그림의 FW_JP(col1, row2)를 쇼트 시키고 USB 포트에 연결하면 부트로더가 작동됩니다.
KEY_JP(col2, row2)를 쇼트 시키고 USB나 PS/2에 연결하면 부트 매퍼로 작동됩니다.
- LED 연결 부분
G : GND
N : Num lock LED
C : Caps lock LED
S : Scroll lock LED (스크롤락 LED는 연결하지 않아도 on/off에 따라서 캡스락 LED가 2회/1회 깜박거려 표시됩니다.)
F : Full LED, 이곳에 연결되는 LED는 반드시 저항을 통해서 연결되어야 합니다.
- 기타 참고 사진들
* 납땜을 완료 했다면 부트로더를 이용해 펌웨어를 업로드한 후 부트 매퍼를 이용해서 키 매핑을 해주면 키보드로 작동합니다.
- 펌업 방법 : http://blog.winkeyless.kr/18
- 부트 매퍼 사용 방법 : http://blog.winkeyless.kr/90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stom Macro 사용 방법 (27) | 2014.01.28 |
---|---|
FAQ - 자주하는 질문 & 답변 (55) | 2013.12.09 |
U.CON 조립 가이드 (11) | 2013.11.19 |
Bootmapper 키 맵핑 사용법 (11) | 2013.11.19 |
A.87U EX 기판 조립 가이드 (5) | 2013.11.06 |
ThumbU 기판 조립 가이드 (0) | 2013.10.29 |
기린군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괴수가면님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연락드립니다 ^^;
잘 지내시는지요?
U.CON 조립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문제가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조립후 홈페이지에 있는 부트로더 올렸습니다.
writing후 verifying 까지 완료했습니다.
부트로더를 올린후 펌웨어를 올리는데 hex 파일을 flash할때 error가 발생합니다.
디바이스가 detection이 된후 keymain_GKP나 NKRO hex파일을 선택하고 flash를 하면 fail메시지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그럼. 명절 잘보내시길 바랍니다.
P.S.
Q1. U.CON과 기존 부트로더 파일은 같은것을 이용하면 되는지요?
Q2. 펌웨어를 올릴때 hex파일은 아무거나 선택해도 되나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안녕하세요. 부트로더 파일도 같고 펌웨어 파일도 같습니다. 혹시 파일들의 경로에 한글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그외에 의심되는 부분은 지금으로선 떠오르지 않네요.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괴수가면님 안녕하세요..
UCON을 이용하여 풀와이어링으로 조립했습니다.
Col 1, Row 2 쇼트시키면 LED는 이상없이 점멸하는데요,
HIDBootFlash에서 장비가 인식되지 않습니다.
어디를 살펴보면 좋을까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간혹 크리스탈의 납땜 상태가 좋지 못하면 LED는 점멸 되는데, USB로 인식이 안되곤 합니다. 이 부분을 확인해보세요.
Reply: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으.. 간격이 너무 좁아서 띄어내기도 힘들군요..
다시 한번 지지는 정도로는 마찬가지인데..
띄어내는 좋은 방법 혹시 없을까요?
와이어링끝의 대박함정에 멘붕이네요 ㅋㅋ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납으로 가까운 다리 2개씩 연결해 놓고 제거 해보세요 ㅎ 장비가 따로 없으면 힘들긴 합니다.
아니면, usb 와 관련있는 소자들 (zd1,2, n2,3, 68옴*2)도 한 번씩 살펴보세요. 혹시 소자가 바뀌었거나 하지는 않았는지요.
Reply: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무래도 전체적으로 땜 한번 봐야겠네요..
도움 감사드립니다!
Reply: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해결했습니다.
ZD1,2와 N2,3이 서로 바뀌었었네요.
두번째 사진에서 공교롭게 N1과 ZD1,2의 질감이 같아서 착각했습니다. 텍스트만 주의깊게 읽었어도 이런일은 없을텐데 말이지요ㅎㅎ
헌데 소자 띠어내다가 ZD1의 두발중 오른쪽 (발1개쪽을 위로놓고 봤을때) 의 기판동박이 날아갔는데, 와이어링하려고 살펴봐도 이 동박에서는 나가는 곳이 없는것 같습니다. 연결해줄 필요가 없나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ㅎㅎ 다행이네요. 제너다이오드는 다리가 3개지만 실제 접점은 2개여서 나머지 1개는 떨어져나가도 작동에 이상 없습니다 ㅎ 그냥 두셔도 되요~
버밀리언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수정되었군요~ 원츄 ^^! 앞으로 조립하시는 분들이 조금 혼란이 줄어들 것 같네요~ 수고하셨습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