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웨어 링크 : http://blog.winkeyless.kr/17
2014.1.28.
- FN2 toggle 표시 LED 변경
: 기존에 지속적으로 N/L이 점멸하는 방식에서 변경시 1회만 깜박이는 방식으로 변경
: toggle on/off를 caps lock/num lock LED의 깜박임 수로 표시합니다.
: on/off 각 2번/1번 점멸 합니다.
- lock key/win 키 추가
: Lock Key 키는 키보드의 모든 입력을 차단합니다.
: Lock Win 키는 좌/우 윈도우 키의 입력을 차단합니다.
: 두 키 모두 토글 방식으로 작동하며, 전원이 차단되면 모두 off 상태(차단하지 않는 상태)가 됩니다.
- custom macro 지원
: U.CON을 이용하여 패드 등을 사용할 때 하드웨어 매크로를 실행할 수 없거나, 실행을 했더라도 매크로 등록을 할 수 있는 키들이 없을 경우를 위한 외부에서 매크로를 설정하여 부트로더로 키보드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부트 매퍼 사이트에 추가된 "Custom Macro"탭을 이용하여 매크로를 편집 후 .hex파일을 생성하고 부트로더를 이용해 키보드에 업로드합니다.
: 커스텀 매크로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12개의 키가 추가되었습니다. (CST Mac1~12)
- Custom Macro 사용 방법
http://blog.winkeyless.kr/125
윈도우즈 OS의 멀티미디어 키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아래 링크의 설명을 참고하여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주세요.
http://blog.winkeyless.kr/110
'자료실 > 펌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avrU V1.6 펌웨어 업데이트 (12) | 2014.02.12 |
---|---|
ps2avrU V1.6 펌웨어 업데이트 (10) | 2014.02.04 |
ps2avrU V1.6 펌웨어 업데이트 (16) | 2014.01.28 |
ps2avrU V1.6 펌웨어 업데이트 (5) | 2014.01.24 |
ps2avrU V1.5 펌웨어 업데이트 (4) | 2014.01.22 |
ps2avrU V1.5 펌웨어 업데이트 (4) | 2014.01.20 |
오... 커스텀 매크로 기능 정말 필요했던 건데 넣어주셨네요. ^^
문의해봐야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ㅎㅎ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ㅎㅎ 사용해보시고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참고로 커스터 매크로의 다음 추가 기능은 매크로 입력간에 딜레이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 입니다.
그런데 펌웨어 링크가 빠졌어요. 매뉴얼 작성 끝나면 넣어주시겠지 했는데 잊으신듯 합니다. ㅎㅎ
그나저나 외국 사용자들을 위한 영어 매뉴얼 만들 것이 점점 늘어가고 있네요. ^^;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그렇군요. 방금 추가했습니다 ㅎ 영어 번역은 구글이 잘 해주리라 믿습니다 ㅎ
Reply:
둘둘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제가 영어 매뉴얼 만들어주겠다고 약속한 외국인들이 좀 있어서요. ^^;
그냥 구글 번역 돌려보고 모르면 질문하라고 하는 게 나을까요? ㅎㅎ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외국어 매뉴얼을 별도로 만드신다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 ㅎ 이미지도 출처만 밝히시면 얼마든지 가져다 쓰셔도 괜찮습니다~
Reply:
둘둘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착수(?)하기 전에 말씀을 드리려고 했는데 미리 허락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번 펌웨어의 문제인지 쓰다 보니 이상한 현상이 있습니다.
입력을 하면 제대로 입력이 되지 않고 한 키만 중복 입력이 일어나다 멈추는 현상이 있네요.
마우스 프리징 현상도 잠깐 생기구요.
어제까지 문제 없던 키보드인데 오늘 펌업을 하고 나서 두어번 이런 일이 있었네요.
참고로 현재 ps2avr+확장모듈 키보드, aikon-ps2avrU 키패드 이렇게 두 대가 물려 있는 상황이고,
둘 다 최신 펌웨어로 올린 상태입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저는 보통 ps/2로 연결해서 쓰는 중인데 일단 그쪽은 그런 현상이 없었습니다. 말씀을 듣고 usb로 바꿔서 테스트 중입니다. 장시간 사용 후 다시 말씀드릴께요~
Poi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오, lock key/win 키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생겼네요. ㅎㅎ
혹시 led 모드 전환이나 ps2/usb 입력처럼 lock key가 전원이 차단된 후에도 유지되는 것은 어려울까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적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만, 유지시켜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Reply: Poi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 사용하는 컴퓨터가 좀 냅두면 일반 절전모드와는 다르게 전원이 나가버립니다. 켜면 금방 원래대로 돌아오긴 하지만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키보드의 고유 임무를 차단하는 잠금 기능이기 때문에 유지시키지않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기능을 아직까지는 보안 기능으로 보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Reply: Poi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 넵 알겠습니다.
문의입니다.
지금까지 펌웨어 내용을 빠른 검색으로 보았는데, 너무 어려워요...GUI로 변경해주세요.. ㅎㅎ
다름이 아니라 예전에 몰랐는데, 1.6까지 펌웨어를 하고 나서 보니
과거에 사용하는 기능이 안되길래 왜그러지? 하고 있었는데.... 방식이 틀려진거 같아서요.
제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Win키 + 왼쪽방향키, 오른쪽방향키입니다.
이 단축키는 익스플로어 화면은 모니터 왼쪽, 일반, 오른쪽으로 정렬을 해주는 기능이거든요.
<현재 사무실 주력이 ThumbU 입니다>
과거에는 win키 + FN + 방향키를 눌렀는데, 1.6 펌업 이후로는 FN+win키+방향키 순으로 변경이 되거 같습니다.
이게 맞는건지 확인부탁드리구요.
FN2진입 키 , FN3 진입키를 알려주세요... ^^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게으른 FN 옵션 때문에 해당 현상이 나타났었습니다. 버그는 아니었지만 해당 현상을 불편하게 여기시는 분들이 계셔서 수정한 펌웨어를 다시 업로드 했으니 확인해보세요~
FN2 키는 키 코드 표에 나와있습니다.
키 코드 표 : http://winkeyless.kr/54
FN3 키는 키 코드 표에 없는데 이유는 하드웨어 키 매핑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레이어이기 때문입니다. 부트 매퍼를 이용해야 FN3 레이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하드웨어 키 매핑보다 부트 매퍼 사용을 권장합니다 ㅎ
부트 매퍼 사용법 : http://winkeyless.kr/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