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트로더를 이용한 펌웨어/키맵/매크로 업로드 방법
-1. B 시리즈 기판( B.87 등 이름이 B로 시작하는 기판 들)은 아래 링크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bootMapper Client 사용 법 : http://blog.winkeyless.kr/154
* 아래 설명은 ps2avrU 기판들(A.87U와 같이 기판 이름이 U로 끝나는 것, 또는, ps2avr-ext를 연결한 ps2avr 기판)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0. 아래의 링크에서 부트로더를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파일을 PC의 적당한 폴더에 다운로드합니다.
- http://blog.winkeyless.kr/17
0.0.1 ps2avr 시리즈의 기판의 경우 콤보 펌웨어가 아닌 PS/2 전용 펌웨어를 이용하려면 아래 링크의 각 기판 자료중 펌웨어인 .hex를 업로드해주면 됩니다.
A.87 : http://blog.winkeyless.kr/4
MX-mini : http://blog.winkeyless.kr/6
thumb : http://blog.winkeyless.kr/9
0.1. 만약, 키보드가 PC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키보드를 PC에서 연결해제 합니다.
1. 키보드에 USB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A.87 ps2avr, MX-mini ps2avr, thumb 등 ps2 전용 기판이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추가로 USB케이블에 ps2avr-ext(이하 확장 모듈)을 연결해야 합니다.)
2. 키보드의 "Q"키를 누른 상태(col1과 row2가 쇼트된 상태)로 USB케이블(확장 모듈)을 PC의 USB 포트에 연결합니다.
- "Q"키에는 다이오드가 납땜 되어 있어야 합니다.
- "Q"키는 매트릭스상 col1, row2에 위치합니다.
- U.CON이라면 PCB의 FW_JP를 쇼트 시키면 "Q"키를 누른 것과 같습니다.
- "Q"키에 스위치나 다이오드를 납땜하기 전이라면 다음 그림과 같이 전기가 잘 통하는 핀셋 등으로 col1과 row2를 직접 쇼트 시킬 수도 있습니다.
- 이때 키보드의 모든 LED가 연속적으로 깜빡입니다. 이 상태가 부트로더로 작동되는 상태입니다.
(이젠 "Q"키를 누르고 있지 않아도 됩니다.)
- 이렇게 LED가 깜빡이는 상태로 계속 진행합니다.
- 만약 그렇지 않다면 부트로더를 설치하세요.
- 부트로더 설치방법 : http://blog.winkeyless.kr/15
3. HIDBootFlash.exe 를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 만약 위 파일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Microsoft Visual C++ 2005 Redistributable Package를 설치해주세요.
64bit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21254
32bit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3387
- 또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여 다른 방법으로 펌웨어를 업로드하세요.
http://blog.winkeyless.kr/29
- "FInd Device"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의 스크린샷처럼 다른 버튼들이 보여집니다.
- 스크린샷에는 keymani_a87.hex가 자동으로 검색되어 선택된 상태입니다.
- 만약, 이 펌웨어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Flash Device"버튼을 클릭합니다.
- 다른 펌웨어를 선택하겠다면 "Open .hex File"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hex파일을 선택합니다.
- 이제 "Flash Device"버튼을 클릭하면 위 스크린샷처럼 숫자가 몇 초간 스크롤됩니다.
(펌웨어가 MCU에 업로드되는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 펌웨어 업로드가 완료되었습니다.
3.1 ps2avrU V1.5이상(2013.12.2. 이후)의 펌웨어라면 펌웨어 자체에는 키 매핑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키맵 파일도 부트로더를 이용해서 업로드해줘야 합니다.
- 기본 키맵 파일은 펌웨어와 같은 압축 파일에 포함되어 있으며 keymap_part(pcb_name).hex의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 http://blog.winkeyless.kr/17 : 링크의 파일 설명 참고
- 방법은 위 3번과 동일하며 .hex 파일만 키맵 파일로 선택해서 "Flash Device"를 눌러주면 됩니다.
- 결과적으로 처음 펌웨어를 업로드 하는 경우라면 부트로더를 이용해서 펌웨어와 키맵을 각 1번씩 2번 업로드해야 합니다. 이후부터는 키맵은 계속 유지되므로 새로운 펌웨어만 업데이트(업로드) 해주면 됩니다.
- 키맵의 변경은 부트 매퍼를 이용해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부트 매퍼 사용법 : http://blog.winkeyless.kr/90
3.2 ps2avrU V1.6 이상(2014.1.28. 이후)의 펌웨어라면 Custom Macro 사용을 위해 위와 같은 방법으로 macro.hex 파일을 키보드에 업로드 해줄 수 있습니다.
4. USB 케이블(확장 모듈)을 USB 포트로부터 분리합니다.
5. 다시 USB 포트에 연결해 USB 키보드로 인식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5.1. 다음 그림처럼 PS/2 젠더를 연결하고 PS/2 포트에 연결해서 PS/2 키보드로 인식/작동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 참고 블로그 : 뚜비뚜비뚜뚜바 님 sam209.tistory.com/1105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umb V0.1 조립 가이드 (9) | 2013.07.03 |
---|---|
ps2avrU 펌웨어 정보 (9) | 2013.06.30 |
부트로더를 이용한 펌웨어/키맵/매크로 업로드 방법 (34) | 2013.06.30 |
부트로더 설치 방법 (6) | 2013.06.29 |
부트로더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0) | 2013.06.29 |
ps2avr-ext 조립 및 사용법 (0) | 2013.06.29 |
봉긋한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부트로더까진 올라 갔는데
펌웨어만 올리면 USB 드라이버를 못잡아서 인식 실패로 노랑느낌표 떠요
부트로더로 ps2 펌 올리면 ps2로 잘작동합니다
윈도 7 32 쓰는중입니다만 정식이 아니라서 그런걸까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혹시 다른 USB포트나 다른 PC에서도 같은 증상인가요?
부트로더가 작동하는 것을 보면 하드웨어는 정상으로 보여집니다.
키보드는 HID장치로 인식되어서 특별한 드라이버는 필요치 않은데 포트마다 장치인식을 별도로 하는 것 같습니다.
OS의 인증 여부는 관계 없을 거에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직은 많은 기기에서 테스트를 해보지는 않아서 완벽치 않은 것 같습니다. USB로 작동이 잘 안되면 당분간은 PS/2로 사용해주세요.
봉긋한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컴터 문제 였나봅니다
노트북이 수리점에 가서 다른컴에 테스트를 못해봤는데
오늘 노트북에 테스트 해보니 정상 작동 하는군요
노트북에서 카제컨버터가 빠져 버렸군요 ㅋㅋ
부트로더 올라갔으니 이제 키맵 편하게 바꿀수 있겠군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조만간 인터페이스를 확실히 적용할 수 있는 펌웨어로 업로드하겠습니다. 이를테면 반자동인 셈이죠 ㅎ
완전 자동 인식은 PC/컨버터/허브 등의 하드웨어에 따라서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반자동으로 이를 커버하려고 합니다. 지금 거의 완성되었고 곧 새로운 펌웨어를 업로드하게되니 그 때 다시 한번 테스트해보시길 바랍니다 ^^
봉긋한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혹시 포즈키의 led가 키패드 넘락이랑 연동대서 키패드 쪽 넘락 누르면 포즈키 led가 점등이 되는데
포즈키 led를 다른키들과 같이 작동하도록 할려면 어느쪽 건드려야 할까요?
단순 키맵 바꾼다고 바뀌는건 아니든데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다른 키들이라면 Full LED들을 말씀하시는거죠? 어떤 기판인지 모르겠지만, 넘락에 연결된 330옴 저항을 때어내고 포즈키의 스위치에 달려있는 저항 붙이는 곳에 다른 Full LED + 전원 선을 와이어링 해야 합니다. 어느 기판인지 남겨주시면 간단하게 사진찍어서 포스팅 할께요.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봉긋한님과 유사한 문제를 겪었습니다.
USB3을 USB2포트로 바꿔주니 해결되었습니다.
근데 필요야없지만, ps2인터페이스로 전환시 카제컨버터가 작동하지 않네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지금 테스트 해볼 카제 컨버터는 없어서 확인이 불가하지만 되는대로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USB 인식 문제는 3발 달린 제너다이오드를 현재 225mW에서 350mW로 교체해주면 많이 좋아 집니다. 파트넘버는 BZX84C3V6 입니다. 저도 이걸 뒤늦게 확인해서 이번 주부터 발송되는 확장 모듈에는 350mW로 교체되었습니다.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다른PC몇대로 테스트해보니 카제컨버터에서 작동안하는것이 아니라 역시 인식문제인듯 합니다. 일단 제대로 인식이 되면 카제컨버터와도 잘 돌아갑니다.
몇몇 PC(윈도7-x64/x86)에서 입력지연현상(?)이 있습니다. 얼마간의 대기시간후 키보드를 입력하면 처음 몇회간 반응이 없다가 수차례 반복입력시 혹은 키를 누르고 있어야 비로소 입력이 개시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마치 키보드가 하이버네이션에서 깨어나는 듯한 현상이고, 잠시만 입력이 없어도 자꾸 다시 자려고 하네요.
USB2와 3의 차이는 일관성이 없네요 어떤pc는 3에서도 잘 물리고 어떤pc는 둘다 잘안되고 그렇습니다. 제너다이오드 신청했는데 5일이나 걸리네요ㅎㅎ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대략9대정도의 PC에 테스트해봤는데, 1대 정상작동(xp), 3대 입력지연(win7), 5대에서 장치인식실패(xp/win7)가 뜨네요. 입력지연되는 PC들도 장치인식은실패로 나오지만 키보드가 작동하며 입력지연현상이 발생합니다.
아무래도 제너다이오드 교체후 다시 테스트해봐야 할듯합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피드백 감사합니다. 제가 오늘 중으로 테스트용 펌웨어를 등록 할테니 안되는 PC에서 테스트 부탁드려도 될까요? 인식 실패의 원인이 USB로 인식하면서 2번 LED가 깜박이는데 여기서 시간이 지연되어서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우선 저 부분을 제외한 펌웨어를 올려보겠습니다.
ChemB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넵 펌올라오면 테스트해보겠습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http://winkeyless.kr/entry/ps2avrU-%ED%85%8C%EC%8A%A4%ED%8A%B8-%ED%8E%8C%EC%9B%A8%EC%96%B4
위 링크에 테스트 펌웨어를 업로드했습니다^^
1000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괴수가면님
아무리해도 인식이 되지 않아서 조립실패로 판단하고 다시 기판을 주문해서 조립했습니다.
그런데도 또 인식이 되지 않더라구요. 완전 좌절하다가...
직장에 있는 오래된 컴퓨터(XP)에 연결하니 인식이 되는겁니다
덕분에 기판이 하나 더 생기게 되었습니다 ^^;;
왜 이런 문제가 있는 걸까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USB인식을 말씀하시는거죠?
http://winkeyless.kr/entry/USB-%EC%9D%B8%EC%8B%9D%EC%9D%B4-%EC%95%88%EB%90%98%EB%8A%94-%EA%B2%BD%EC%9A%B0-%ED%95%B4%EA%B2%B0-%EB%B2%95
위 링크를 참고해 보셨는지요?
그리고, 참고할 만한 설명이 부족해서 딱히 어디가 문제일거라는 생각을 하기에는 쉽지 않군요.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부탁합니다~
1000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예 당연히 참고했습니다 ^^ 아마도 이 사이트의 모든 글을 다 몇번씩은 읽은것 같아요.
사실 키보드조립이 처음은 아니라서 하던대로 조립을 하고 펌웨어 다운로드를 위해 컴퓨터에 연결을 했는데 인식이 되지 않더라구요. 마이크로 USB연결이 아닌 와이어링으로 미니B USB로 연결을 했었는데 전부 인식실패였습니다. 도저히 방법을 찾을 수 없어서 다시 기판을 신청했던거구요.
아주 신중히 정성을 들여 납땜을 하고 확인을 해보니 이전과 똑같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전혀 인식이 되질 않더군요.
그래서 마이크로 유에스비를 납땜하고 연결을 해보니 인식이 됩니다.
(오에스 문제는 아니었던거 같습니다)
어쨋든 제 경우에는 그랬습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thumb기판이죠? 혹시 와이어링할때 배선이 잘 못 된것은 아닌지요? 아니면 miniUSB 커넥터를 윗면이 아닌 바닥면에 체결한 것은 아닌지요? 마이크로 USB를 연결하고선 인식이 된다는 글로 추측할 수 있는 부분이네요. 아무튼, 인식이 된다니 다행입니다 ^^
mxmini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mx mini u 기판을 수령하고 소자땜완료하여
부트로더도 정상적으로 올라갔습니다.
Q 누른상태로 LED 점등됨(CAPS LOCK 만 LED설치)
HIDBOOTFLASH 실행하고
FIND DEVICE 해도 찾지를 못합니다.
OS는 WIN7 64BIT 입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LED깜빡이는 상태에서 Find 하신거 맞죠? OS에서 처음 부트로더를 인식할 때는 약간의 드라이버 설치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장치관리자에서 확인을 하는 스크린샷을 본문에 첨부해 둔 것이고요. 물론, 처음 한 번만 드라이버가 설치된 후에는 이과정이 생략됩니다.
그리고, 부트로더의 실행은 전원만 연결되면 가능합니다. 무슨 뜻인가 하면 부트로더의 실행을 알리는 LED의 점멸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USB로는 인식이 안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납땜이 잘되었다고 생각된다면 플러스 제거제로 청소를 해보시고, 아니라면 납땜을 다시 확인해 보세요.
敵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안녕하세요. U.Con 설치 후 작업중입니다. : )
궁금한 점이 생겨 남기네요.
드라이버 인식도 잘 되고, 부트매퍼도 정상 동작을 하길래 한번 설치랑 부트매퍼작업을 했는데 정작 키보드 입력이 이상하게 먹히는 키들이 존재합니다. 원인을 찾아보고 있는데 다른 특이사항이 현재
usb입력장치 정보를 하드웨어 ID를 16C0 - 05DF 가 아니 16C0 - 27EF 로 인식하네요. ^^;
그래서 부트매퍼에서 HEX를 씌울떄 16C0 - 05DF 로 찾으면 찾아지고, 16C0 - 27EF로 찾으면 또 못찾구요.
어딘가 잘못한듯 싶긴 한데 무엇이 문제인지 좀 파악하기 어렵네요.
혹시 짐작되시는곳이 있다면 답변 부탁드려요. : )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16C0 - 05DF가 맞습니다. 다른 아이디는 다른 장치 아닐까 생각됩니다. 저도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네요 ㅎ 혹시나해서 확인해봤는데 이상은 없었습니다.
김정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u.con 작업중인데 부트로더가 작동을 안합니다 컴퓨터에 연결을 햇는데 알수없는장치라고 뜨고 하드웨어 아이디도 언노운이라고 뜨네요
그리고 제너다이오드는 iip 2 가 3개 z15 C가 2개 왓구요 컴퓨터는 win7 64bit 쓰고 잇습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FW-JP를 쇼트시킨 상태에서 USB를 연결한 건가요? 실행한 순서를 차근차근 알려주시면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겠네요^^
아 그리고, iip2라고 써있는 3개는 제너다이오드가 아니고 트랜지스터입니다. z15라고 써있는 놈이 제너다이오드입니다. 둘을 반드시 구분해서 납땜 해줘야합니다.
Reply: 김정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예 fw-jp 쇼트 시키고 연결햇습니다 처음에는 usb오류 장치실행불가가 떳는데 포트바꿔서 끼우니 장치인식은 되는데 언노운장치로 인식이 되서 하드웨어 아이디도 뜨지 않고 하네요
제가 소자땜을 잘못햇을까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마 제너다이오드처럼 생긴 트랜지스터를 혼동해서 납땜을 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http://winkeyless.kr/91
위 링크의 조립가이드대로 조립이 되었는지 확인해보세요. N1~3이 "!1P"라고 각인되어 있는 트랜지스터고, ZD1,2가 "Z15"라고 각인된 제너 다이오드입니다.
Reply: 김정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트랜지스터랑 제너다이오드는 맞는장소에 땜이 되잇습니다
usb연결하면 오류43번으로 장치가 작동불가 다가 다른 usb포트에 끼우면 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하고 잇가ㅗ 하네요
위치는 : 위치0(port_#0004.Hub_#0001)이라고 뜨네요
제가 땜한사진을 키보드 매니아 질문란에 한번 올려볼테니 봐주시기바랍니다
* 추가내용: 이제 또 연결이 안되네요 뭐가 문젠지.. 장치인식실패라고 뜨는데 위치: Port_#0001.Hub_#0003 ,코드43번 에러가 뜨네요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일단 사진상으로는 크리스탈(Y1)부분의 납땜이 잘 못 됐습니다. 납이 각인 되어있는 윗판까지 올라오면 GND와 쇼트가 나기때문에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지네요. 네모 표시한 부분과 그 대각선 부분은 납이 윗판까지 와서는 안됩니다. 사진이 희미해서 잘 안보이긴하지만 다른 부분에는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Reply: 김정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소자땜이 잘못됫다 하셔서 소자좀 만지작 거리고 다시 연결햇더지 잠깐 하드웨어아이디도 뜨고 되는듯하더니 이제 아에 인식이 안되네요
usb포트에 꽂아도 아무반응이 없습니다
이건 어디가 잘못된건가요 ?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우선 크리스탈의 쇼트는 제거하셨나요? 그걸 확실히 처리한 후에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Reply: 김정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예 크리스탈 y1쇼트부분은 납제거 하고 다시 납땜햇습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그렇다면, 직접 보지 않고는 확실히 알 수 없겠습니다. 괜찮다면 보드를 보내줘 보시겠습니까? 제가 확인해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Reply: 김정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닙니다 인두기로 소자땜좀 지져보고 usb2포트에서 안되서 usb3포트에 꽂앗더니 다시 인식이 되네요
지금까지 감사햇습니다 다시또 안되면 댓글남기겟습니다
Reply:
괴수가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다행이네요. 잘 되길 바랍니다. 혹시 다시 안되면 다시 댓글 남겨주세요 ^^